1. 사용 플랫폼 : stackBlitz
- 작성한 코드가 실시간으로 반영되는 장점이 있었음.
- 컴퓨터에서 작성하던 것을 노트북으로 바로 이어서 할 수 있음
- 다만 실제 react파일들이 전부 들어 있지는 않은 것 같았음(package.json, public폴더 등)
2. React는 사용자 정의 태그를 만드는 기술(react의 본질)
-정리 정돈의 핵심 : 관련 있는 것끼리 그룹핑하는 것
-React에서는 함수의 형태로 태그를 만들 수 있음
-해당 태그를 사용해서 같은 태그를 쉽게 반복 가능
-이러한 사용자 정의 태그를 react에선 Component라고 함
위에서 Header컴포넌트를 선언한 뒤 아래에서 사용하는 모습
-컴포넌트의 사용 장점은 한 번에 해당 태그를 전부 수정할 수 있고, 사용자끼리 해당 태그를 공유하는 것도 가능
-컴포넌트의 함수 안의 html은
3. React의 속성은 prop이다
-prop은 컴포넌트의 매개변수의 형태로 들어간다.
-태그 안에서 prop은 속성들의 값이 객체로 들어가게 된다.
-return값 안에서 속성을 호출하려면 {propt.객체 키}의 형태로 사용한다.
-이렇게 prop이 적용된 컴포넌트는 사용될 때 사용된 속성이 없으면 출력되지 않음
-list 같은 형태의 태그들은 for문을 이용해서 동적으로 태그를 작성 할 수도 있음
4. State
-내부 변수에 대응하는 기능
-좀 더 공부 필요
5. 스터디 결과
- 실패...
- React개념 파악이 생각보다 어려웠음
- 다른 프로젝트와 병행이 어려웠음
- 2주차 스터디 : Flutter getX패키지, FCM공부 및 개발 진행